Home [Infra]기초
Post
Cancel

[Infra]기초

Infra 기초

구성요소

하드웨어

  • 서버 장비 본체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전원 장치 등
  • 하드웨어를 설치하는 데이터 센터의 설비(건물, 공조, 보안 설비, 소화 설비 등)도 포함
  • 데이터 센터, 냉각시설, 서버 등

네트워크

  • 사용자가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서버를 연결하는 도구
  •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인터넷과의 통신, 네트워크 장비 및 케이블 배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

운영체제

  •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 클라이언트 OS :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도록 하는데 초점
    (Windows, macOS 등)
  • 서버 OS : 시스템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실행하는데 초점
    (Linux, Unix, Windows Server 등)

미들웨어

  • 서버 상에서 서버가 특정 역할을 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온프레미스(On-premises)

  • 데이터 센터나 서버실에 서버를 두고 직접 관리하는 방식
  • 개인적인 NAS나 서브 PC로 구동하는 작은 서버 포함
  • 서버, 네트워크 장비, OS, 스토리지, 각종 솔루션 등을 직접 사서 설치하고 관리
  • 장비들은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초기 투자 비용이 크고 이후 사용 예측량을 가늠하기가 힘들며 한번 구축해놓으면 사용량이 적어도 높은 유지 비용을 요구
  • Private Cloud도 On-Premises에 속하지만, Private Cloud는 가상화 클라우드 관리 스택이 존재

항상 클라우드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무조건 클라우드가 좋으니까 옮기자!가 아니라 상황에 온프레미스가 맞는 경우도 있으니 제대로 검토해야 합니다.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는 모두 가용성을 보장합니다만 개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온프레미스는 서버가 죽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반면 클라우드는 많은 인스턴스로 이루어진 분산 환경에서 인스턴스가 죽으면 다른 인스턴스가 빠르게 대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그냥 클라우드를 사용한다고 해서 가용성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가용성을 높이도록 직접 설계해야 합니다.
따라서 잠시라도 끊어져서는 안되는 시스템이나 클라우드 업체가 보장하는 것 이상의 가용성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온프레미스가 유리합니다.
기밀성이 높은 데이터의 경우에도 온프레미스가 유리합니다.
물론 자사의 보안보다 클라우드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보안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만 물리적인 저장 장소를 명확히 알 필요가 있을 때는 온프레미스가 유리합니다.
또한 멀티 클라우드를 사용한다면 각 클라우드 프로바이더마다 보안 정책이 다르기 때문에 보안 표준을 구축하기 어렵습니다.
이 외에도 특정 유료 솔루션을 사용하는 경우나 클라우드가 지원하지 않는 특수한 플랫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가 없습니다.


클라우드(Cloud)

|구분|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 |서비스 대상|한정된 그룹|불특정 다수| |인프라 위치|자체 데이터센터|CSP 데이터 센터| |인프라 운영|사내 엔지니어|CSP 엔지니어| |장점|기업이 원하는 대로 구축 및 운영 가능|- 초기 구축 비용 저렴(사용한 만큼 지불)
- 인프라 환경 운영에 대한 부담 저하
-트래픽에 대한 빠른 대응
- 다양한 Paas, Saas등의 상품을 이용한 빠른 개발

CSP(Cloud Solution Provider): 공공 클라우드 인프라,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의미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으로써, 주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가상화하여 제공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인프라로써, 확장성이 높고 자동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제공(원하는 사양의 가상 머신이나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이용한 시간이나 데이터 양에 따라 비용을 지불)
AIaaS(AI as a service): 서비스형 인공지능으로써, 다양한 AI 기반 기능을 포함하여 타사 공급업체가 고객사에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즉시 사용할 수 있는 AI 제품)


회사 직원용 시스템(근태 관리, 회계, 인사 등)은 사용자가 한정되어 있고 트래픽을 예측하기가 쉬워 온프레미스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외 서비스의 경우 트래픽을 예상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렇게 트래픽 양에 따라 서버 사양이나 네트워크 대역을 가늠하는 것을 사이징(sizing) 이라고 하는데 상당히 어려운 작업입니다. 크게 잡으면 낭비가 되고 적게 잡으면 단기간에 증설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트래픽의 변동이 많은 시스템은 클라우드 시스템이 유리합니다. 클라우드 시스템에서는 트래픽에 따라 자동으로 증설해주는 오토스케일링(Auto Scaling) 이 있어 유리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Desktop View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조

  • 각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함
  • 클라우드 프로바이더 역시 각자의 장점이 달라서 여러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함
  • 이를 결정하기 위해 특성을 잘 파악하고 선택의 기준이 명확해야 함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 다른 CSP의 Public Cloud를 결합한 형태



데이터 센터

데이터 센터

  • 서버, 네트워크 회선 등을 제공하는 건물 혹은 시설
  • 장비들을 안전하게 가동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이 존재
  • 장비들은 랙(Rack)에 마운트(Mount)되어 운영

서버랙

  • 서버나 스토리지 등 장비들을 모아 보관하는 서랍

Neurocloud(뉴로클라우드)

  • 고객의 전용 하드웨어 장비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해주는 서비스

Rack Type

  • 자체 데이터 센터 혹은 전산실을 보유한 고객을 대상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하드웨어 인프라로 구성된 랙을 고객 데이터 센터에 위치시키는 방식

Smart Server Farm

  • 별도의 전산 공간이 없는 고객을 대상으로 랙타입에서 제공되는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UPS 등 공조시설 및 전기시설까지 함께 제공하는 방식
  • 네이터 클라우드 전산공간을 사용

랙(Rack): PC나 서버, 통신장비, 각종 계측기 등 일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들을 보관하고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제품
UPS: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